1. 등장인물 및 사건의 흐름
(1) 등장인물
오대수
평범한 회사원으로 이유를 알 수 없는 채 납치되어 15년 동안 외딴 사설 감금실에 갇히게 되는 인물. 감금에서 풀려난 후 자신을 가둔 자와 그 이유를 추적한다. 극 중 복수심, 죄의식, 인간성 사이에서 갈등하는 중심 인물로 영화 전개의 핵심 축을 담당한다.
이우진
오대수를 감금한 인물로 고등학생 시절 여동생과 관련된 사건으로 인해 복수심을 품고 치밀한 계획을 세운다. 부유하고 냉철한 성격을 지녔으며 극도의 통제력을 바탕으로 15년에 걸친 복수극을 연출하는 인물이다. 오대수와의 관계는 영화의 반전을 구성하는 결정적 요소다.
미도
오대수가 감금에서 풀려난 후 우연히 만나 도움을 받는 젊은 여성. 두 사람은 감정적으로 가까워지며 연인 관계로 발전한다. 미도는 스토리의 감정선을 형성하며 영화 후반부에 이 인물이 누구인지를 둘러싼 충격적인 반전이 서사 전체의 핵심을 이룬다.
주환
오대수의 오랜 친구이자 출감 이후 유일하게 그를 반갑게 맞이하는 인물. 과거를 아는 몇 안 되는 사람으로 오대수의 기억과 단서를 이어가는 데 도움을 준다. 이야기 초반부에 주로 등장하며 사건의 실마리를 던지는 역할을 한다.
이수아
이우진의 여동생으로 과거 고등학생 시절 오대수에 의해 소문이 퍼지게 되었고, 그로 인해 심각한 고통을 겪는다. 직접적으로 등장하는 장면은 제한적이지만 이 인물의 과거가 이우진의 복수 동기를 설명하는 핵심 요소다. 극 전체의 비극적 구도를 형성하는 상징적 인물이다.
(2) 사건의 흐름
평범한 회사원 오대수는 딸의 생일을 앞두고 술에 취한 채 경찰서에 들렀다가, 귀가 도중 의문의 인물에게 납치된다. 눈을 떠보니 창문 하나 없는 방, 텔레비전 하나와 침대뿐인 좁은 공간 안에 갇혀 있다. 이유도, 설명도 없이 그렇게 15년이 흐른다. 감금된 채 아내가 살해됐고, 자신이 용의자로 몰렸다는 사실을 TV 뉴스를 통해 알게 되면서 그는 복수를 결심한다.
어느 날 갑자기 풀려난 오대수는 세상 속으로 돌아오지만, 자유는 곧 혼란의 시작이다. 도대체 누가, 왜 자신을 감금했던 건지 아무런 단서가 없다. 그러던 중 초밥집에서 만난 젊은 여성 미도와 가까워지며, 오대수는 본격적으로 과거를 추적하기 시작한다. 기억을 더듬고, 오래된 인연을 찾아가며, 그는 마침내 고등학교 시절의 한 소문이 모든 사건의 발단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그 소문은 이우진이라는 인물과 그의 여동생 사이의 금기된 관계에 대한 것이었고, 그 파문은 이우진의 인생을 송두리째 무너뜨린 계기가 되었다. 이우진은 15년 전의 그 말을 잊지 않았고, 치밀하게 계획한 복수극을 실행에 옮긴 것이다. 그는 오대수가 감금된 15년 동안, 그의 삶과 주변을 조종했고, 심지어는 그의 딸을 키워 오대수 앞에 미도라는 이름으로 등장시킨다.
결국 오대수는 자신이 딸과 연인 관계에 놓이게 되었음을 알게 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그는 충격 속에서 무릎 꿇고 애원하며, 극단적인 행위로 사죄의 뜻을 전한다. 이우진은 자신의 계획이 완성됐음을 확인하고 조용히 권총으로 생을 마감한다.
영화는 오대수가 최면 치료를 통해 기억을 지우려 하며 끝을 맺는다. 미도는 그를 끌어안고, 오대수의 표정은 어딘지 모르게 고통과 안도의 경계에 머문다. 진실을 알지 못한 채 다시 마주한 두 사람, 그리고 그들에게 남은 침묵은 관객에게 깊은 여운과 불편한 질문을 남긴다.
2. 영화 속 반전 구조와 플롯 전개 방식
(1) 미스터리 구조의 단계적 전개
초반에는 "왜 감금되었는가?"라는 질문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정보가 의도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이후 단서를 따라가며 점차 범인의 정체와 동기를 밝혀 나가는 추리극의 구조를 따른다.
영화가 전개 되면서 하나씩 퍼즐이 맞춰지는 재미가 있다.
(2) 진실과 다단계로 드러나는 반전
영화는 단일 반전이 아닌 여러 층위의 반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우진의 정체, 미도의 정체, 감금의 목적, 딸과의 관계 등 정보가 누적될수록 전환되는 인물 간의 관계가 반전의 핵심이다.
탄탄한 스토리로 전혀 생각하지 못한 내용이 전개되면서 영화를 집중해서 보게된다.
(3) 서사 구조의 역방향적 재구성
사건의 발단은 과거 고등학생 시절의 한 마디 소문이지만 이야기는 현재에서 시작해 과거로 회귀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이는 관객의 긴장을 유도하고 감정 이입보다는 진실 탐색의 몰입을 강화하는 효과를 준다.
(4) 도덕적 혼란 유도
플롯이 의도적으로 비도덕적 딜레마를 유발하여 관객이 단순한 가해자와 피해자 구도가 아닌 복합적인 윤리 문제에 직면하게 만든다.
3. 국내외 평가 및 수상 내역
(1) 국내 평가
박찬욱 감독의 연출력과 최민식의 강렬한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 상업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확보한 작품으로 한국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사례로 평가되었다.
관객 수 약 326만 명이 기록됐으며 국내 영화발전에 큰 영향력이 발휘되었다.
(2) 해외평가
2004년 제57회 칸 영화제 심사위원대상(Grand Prix) 수상. 심사위원장이었던 쿠엔틴 타란티노가 적극적으로 수상을 지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국제적 영향력
이후 스파이크 리 감독에 의해 미국에서 리메이크(2013) 되었으며 수많은 해외 영화감독이 올드보이를 언급하며 가장 강렬한 영화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4) 문화적 영향력
장도리 액션, 복도 롱테이크 장면은 전 세계 영화 연출의 교본으로 인용되며 시네필 및 영화 연구자들 사이에서 장면 구성의 전범으로 여겨지고 있다.